이번 심포지엄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관하는 ‘2019년 공공미술 정책포럼‘과 연계하여 진행된다. 2019년 공공미술 정책 포럼은 공공미술의 현황을 공유하고 논의를 통해 한국형 공공미술의 지속적인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26일 1차 포럼에 이어 12월 6일 2차 포럼이 예정되어 있다.
먼저 1차 포럼은 APAP6 개막을 기념해 26일(토) 오후 2시부터 6시까지 안양 파빌리온 인근 블루몬테 국제세미나실에서 진행된다. 국내외 공공예술 전문가 5인을 초청해 도시재생에서 공공미술의 역할과 확장의 가능성을 가늠해본다.
심포지엄은 김윤섭 APAP6 예술감독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이영철 APAP 창립 디렉터(계원예술대학교 교수ㆍAPAP1 예술감독), 영국 루이스 빅스(前테이트리버풀 관장), 독일 케이 본 케이츠(퀼른시 공공미술 자문위원장), 심소미(독립 큐레이터), 이지희(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등이 연사로 참여해 주제 발표를 진행한다. 각각 주제 발표를 마친 후 김장언 독립 큐레이터가 모더레이터를 맡아 종합 토론을 이끈다.
한편 지난 17일(목) 안양예술공원(옛 안양유원지) 일원에서 공식 개막한 APAP6는 예술과 일상이 공존하는‘공생도시(Symbiotic City)를 주제로 안양예술공원 일원 중심으로 오는 12월 15일(일)까지 국내외 주요 예술가들의 작품 100여 점을 선보이고 있다.
17일 공식 개막식에 앞서 평촌중앙공원에서 열린 제막식에서는 APAP6의 참여 작가인 네덜란드 단 로세하르데((Daan Roosegaarde)의 작품 ‘스모그 프리 타워’(Smog Free Tower)가 대중에 처음 선보였다. 단 로세하르데는 전 인류의 과제인 미세먼지 등 환경과 관련한 이슈를 제시하는 아티스트이자 이노베이터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작가다.
높이 약 7m에 달하며 세계 최초의 ‘공기정화탑’으로 불리기도 하는 이 작품은 예술과 테크놀로지가 결합된 것으로, 기능적 역할뿐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아름다운 조형물로서 공공예술의 또 다른 가능성과 비전을 제시하는 것으로 미술 전문가들과 대중의 호평을 받았다.
이어 오후 4시에는 안양파빌리온 앞 벽천광장에서는 공식 개막식 행사가 개최됐다. 디제잉, 비트박스 등 젊은 아티스트들의 융복합 공연으로 문을 연 개막식에는 최대호 안양시장(안양문화예술재단 이사장)을 비롯해,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 안미희 경기도미술관 관장, 김도일 예술경영지원센터 대표이사 등 국내 미술계 주요 인사들과, 안양시 자매도시인 미국 가든그로브시(市) 투 하 응웬 시의원 등 내빈 및 시민 400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개막식 축사에서 “도시재생 운동의 일환이자 시민들에게 일상 속에서 예술을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해 온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는 그간 한국 공공미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끌어왔으며, 동시에 한국 문화예술계의 역량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창구 역할을 해 왔다”며 “제6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는 안양뿐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필요한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인간과 자연, 디지털과 아날로그, 버려진 것과 새롭게 태어난 것, 예술과 일상이 공존하는 이야기를 프로젝트에 담았다”고 말했다.
영상을 통해 축하 메시지를 전한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올해로 여섯 번째를 맞는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는 기초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발전시킨 국내 유일의 트리엔날레로서, 이제는 공공예술의 대표적인 행사로 자리매김했다”며, “문화체육관광부는 일상의 불편을 해결하고 공공공간을 아름답게 만드는 공공디자인을 통해 시민들의 삶의 공간이 더욱 좋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APAP는 국내 유일의 ‘트리엔날레’로 3년마다 열리는 국내 최초이자 최고의 국제적 공공예술 프로젝트이다. 안양의 지형ㆍ문화ㆍ역사 등에서 작품의 영감을 얻어 도시 곳곳에서 미술ㆍ조각ㆍ건축ㆍ영상ㆍ디자인ㆍ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가 어우러진 폭넓은 공공예술 작품을 선보이며, 시민들이 일상에서 예술을 즐길 수 있도록 도시 자체를 하나의 미술관으로 만들어온 프로젝트이다.
2005년 개최된 첫 회 이래 공공예술을 중심 콘텐츠로 안양시의 도시재생 및 환경개선에 대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온 APAP는 안양시민은 물론 국내외의 많은 예술관객에게 큰 호평을 받고 있다.
이번 APAP6는 서울국제조각페스타,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 경주국제레지던시아트페스타 등의 전시감독을 역임한 김윤섭 예술감독이 프로젝트의 총괄기획을 맡았다.
김 감독은 선임 당시 ‘공생도시’를 주제로 내세웠던 이유로 안양뿐 아닌 현대사회의 여러 도시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경계와 그늘의 문제점을 언급한다. 특히 옛것과 새것, 구도심과 신도심, 원주민과 이주민 등 마치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못하고 대립하는 상충적인 문제점들을 “문화적 상생에너지로 지속 가능한 해결방안 구해보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붙임 1. <제6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국제심포지엄 개요>
붙임 2. <제6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공식 포스터>
붙임 3. <제6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제막식 및 개막식 사진>
붙임1 | <제6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국제심포지엄 개요> |
■ APAP6 국제심포지엄 개요
◦ 제목 : 공공예술, 또 다른 비전 / Beyond APAP, VISION of Public Art
◦ 일시 : 2019. 10. 26 (토) 14:00~17:30
◦ 장소 : 안양블루몬테 국제세미나실 1F_ 경기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 213
◦ 주최 : 안양시
◦ 주관 : (재)안양문화예술재단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대상 : 일반 시민 100여명
◦ 문의 : yy.pencilmania@gmail.com / 네이버예약 (APAP6 국제 심포지엄)
※ 심포지엄 당일, 양재역 9번 출구에서 안양블루몬테까지 왕복버스를 운영합니다. (출발 12:30pm / 회차 18:30pm)
◦프로그램 일정
APAP6 국제심포지엄_ 공공예술, 또 다른 비전 | |
14:00 – 14:15 | 기조연설 – 김윤섭 (APAP6 전시감독) |
14:15 – 14:45 | 이영철 (APAP 창립 디렉터, 계원예술대학교 교수) |
14:45 – 15:15 | 루이스 빅스 (전 테이트리버풀 관장) |
15:15 – 15:45 | 케이 본 케이츠 (퀼른시 공공미술 자문위원장) |
15:45 – 15:55 | 다과 및 휴식 |
15:55 – 16:25 | 심소미 (독립큐레이터) |
16:25 – 16:55 | 이지회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
16:55 – 17:20 | 종합토론 – 모더레이터 김장언 (독립큐레이터) |
17:20 – 17:30 | 질의응답 |
■ 참여연사 소개
이영철 / APAP창립 디렉터, 現 계원예술대학교 교수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석사과정 미학과를 졸업한 이영철 감독은 제 2회 광주 비엔날레 예술감독직(전시기획실장), 제 1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 예술 총감독 (2005), 백남준아트센터 첫 관장 (2008), 개관 기념 페스티벌인 <NOW JUMP> 총감독을 역임하였다. 주요 출판물은 국내 최초로 전후 뉴욕 현대미술 비평 및 미술사 관련 기획 출판물인 “현대미술 비평 30선(M. Shapiro, C. Greenberg, T.J Clark, M. Fried, R. Krauss, H. Foster 등 30개의 대표 논문을 선별하여 한국어로 번역)”을 편저했으며 1989년부터 1993년(해체)까지 민중 문화예술 운동 조직의 하나였던 진보적 미술평론 및 이론 연구 조직인 미술비평연구회의 회원으로 활약했다. 현재는 1998년부터 재직중인 계원예술대학교에서 정교수로 강의를 하고 있다. |
|
루이스 빅스/ 전 테이트리버풀 관장, 現 독립 큐레이터
독립 큐레이터, 집필자, 문화예술 컨설턴트 등 다양한 활동을 아우르는 루이스 빅스는 포크스톤 트리엔날레 큐레이터 (2020, 2017, 2014), 2022년 유럽문화 수도로 선정된 리투아니아의 카우나스 시 공공미술 어드바이저다. 중국에서는 우수공공미술 국제 어워드 조직위원회의 의장 (2019, 2017, 2015, 2013)이며, 상하이 예술대학의 석좌교수로 활동한다. 영국 리버풀 존무어 대학에서 현대미술학과의 초빙교수이기도 한 루이스는 前(전) 랜드아트 몽골리아의 큐레이터(2018), 나고야의 아이치 트리엔날레 공동 큐레이터 (2013), 테이트 리버풀 디렉터 (1990-2000), 리버풀 비엔날레 공동큐레이터 및 아티스틱 디렉터 (2000-11)를 역임하였다. 루이스는 2002년 리버풀 비엔날레가 지역적 그리고 국제적인 사회에 동일한 영향을 끼치는 구조적인 모델을 발전시켰고 리버풀 시의 실질적인 도시재생 발전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를 ‘미술이 도시성을 이끌어간다’ 고 표현했다. 또한 나라에서 수여하는 예술분야 훈장을 수상하였으며 2012년 리버풀의 명예시민으로도 선정되었다. |
|
케이 본 케이츠 / 퀼른시 공공미술 자문위원장, 독립 큐레이터
힐데스하임 대학에서 문화학과 미학을 수여한 케이 본 케이츠는 독일 쾰른에 거주하며 독립 작가, 에디터, 전시 기획 큐레이터 등 미술과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활동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전시 및 프로젝트로는 예술기관 Urbane Künste Ruhr에서 진행한 ‘yesterday the city of tomorrow’ and ‘District Travelling’ 등이 있다. 1999년 케이는 사비나 포겐아이터와 함께 국제 전시 및 프로젝트인 ‘plan – Architecture Biennial Cologne’을 시작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쾰른 시에서 새롭게 설립한 ‘CityLab for Public Spaces’ 발전을 위한 스타트업 팀으로 마르쿠스 암바흐와 함께 임명되어, ‘The Urban Congress’를 공동 프로젝트로 진행하였고 CityLab의 컨셉과 첫 시행에 대해 연구했다. 또한 2014년 11월부터 쾰른 시의 공공미술 자문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현재는 ‘Urban Interventions Cologne’이라는 컨셉을 바탕으로 공공 미술을 위한 트리엔날레 첫 실현에 힘쓰고 있다. |
|
심소미 / 現 독립큐레이터
심소미 큐레이터는 경희대 건축공학,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예술학과를 졸업한 후 다양한 전시 기획, 공공 심의 및 자문 활동과 미술 및 건축 저술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경력으로 2018 공공미술프로젝트 <2018공공하는 예술> 예술감독, 갤러리 스케이프 책임 큐레이터 (2005-2015), 갤러리 킹 공동 디렉터 (2005-2008), 보충대리공간 스톤앤워터 큐레이터 (2003-2004) 를 역임하였다. 주요 전시는 <리얼-리얼시티(REAL-Real City)>(아르코미술관, 2019), <건축에 반하여(Against Architecture)>(SeMA창고, 2018), <프리-마이크로시티랩>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2016), <모바일 홈 프로젝트> (송원아트센터, 서울)(2014) 등이 있다.
|
|
이지회 / 現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큐레이터
영국 골드스미스 대학교 및 미국 콜롬비아 건축 대학원에서 건축, 기획, 보존 학을 전공한 이지회 큐레이터는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학예사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이력으로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한국관 부큐레이터 (2014) 였으며, 주요 전시는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서울 야외프로젝트: 기억된 미래>(2019), 매튜 아프론과 협업한 <The Essential Duchamp 뒤샹> (2018), 광주 아시아문화전당<새로운 유라시아 프로젝트>(2015), 삼성PLATEAU 미술관 <Before/After: Mass Studies Does Architecture> (2014) 등이 있다. 또한 건축 큐레이터로써 건축상영 프로그램인 <베카&르모안 생활 밀착형 건축일기>를 큐레이팅 하였으며, 2017년 e-flux건축부문과 협업하여 <Superhumanity: Post-Labor, Psychopathology, Plasticity>심포지엄과 출판 프로젝트를 주최하였다. |
|
※ 모더레이터 _ 김장언/ 現 독립큐레이터
현 독립 큐레이터로 활동하는 김장언 큐레이터는 홍익대 미술대학에서 예술학과 연세대 대학원 문화학협동과정 석사를 수여한 후 월간 『아트』지 기자(2000), 대안공간 풀 큐레이터(2001-2002), 안양공공예술재단 예술팀장(2006-2007), 제7회 광주비엔날레 <제안전> 큐레이터(2008), 계원예술대학 겸임교수(2011-2014),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전시기획2팀장(2014-2016), 서울미디어시티 비엔날레 2018 디렉토리얼 컬렉티브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비평집 『미술과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현실문화연구, 2012)와 비평집 『불가능한 대화: 미술과 글쓰기』 (미디어버스, 2018)이 있다. |